삼성페이(samsung pay) 모바일 교통카드 추가 등록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삼성페이는 앱에 카드를 등록해 온 오프라인 등에서 간편 결제를 할 수 있는 기능으로 모두 잘 알고 있으실 겁니다
또한 삼성페이 기능중에는 교통카드를 추가해 간편하게 휴대폰으로 버스나 지하철 등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교통카드 서비스는 크게 두가지로 캐시비와 티머니 중에 선택해 추가가 가능하고 먼저 신한, 삼성, 롯데, 하나, 현대, 국민, 농협카드 등 이중에 보유하고 있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먼저 등록해 놓으셔야 합니다
신용카드는 후불 교통카드가 되지만 체크카드라면 선불로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체크카드라 선불로 등록하는 법을 알아볼 것이고 EZL은 캐시비 입니다 어느세 이름이 조금 변경되었습니다 그럼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삼성페이 앱 열기
먼저 휴대폰 화면에서 삼성페이 앱을 터치해 실행해 줍니다 그리고 하단에 보이는 메뉴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조금 스크롤을 내려보면 교통카드 추가 메뉴가 보입니다 터치합니다
교통카드 추가하기
교통카드 추가를 눌러주면 티머니와 EZL 교통카드가 보입니다 말씀드렸지만 EZL은 캐시비 입니다 원하는 교통카드를 선택합니다
선택 후 넘어오면 교통카드 이용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를 선택합니다 앱 내에 저장과 USIM 유심 저장이 있는데 저는 앱에 저장하도록 하겠습니다
저장 위치를 선택 후 넘어오면 EZL 서비스 약관 동의 화면이 보입니다 모두 동의에 체크합니다 그리고 하단에 다음을 눌러 넘어갑니다
결제 방식 선택하기
결제 방식은 후불과 선불 그리고 휴대전화 결제가 있습니다 휴대전화는 수수료가 6%이기도 하고 사용할일 없을 것 같습니다 신용카드라면 후불로 선택 가능합니다 저는 체크카드라 선불로 하겠습니다
결제 방식을 선택했다면 카드사를 선택합니다 저는 신한카드가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신한카드로 선택하겠습니다 다른 카드사를 선택하려면 먼저 카드를 등록합니다
다음은 충전하고 싶은 금액을 입력합니다 3만원, 2만원, 1만원, 5천원 중에 눌러주면 알아서 입력되고 직접 입력하셔도 좋습니다 1천원 단위로 최대 9만원 등록이 가능합니다
자동 충전 설정하기
자동 충전 여부 설정하기
금액 입력 후 넘어오면 자동 충전을 선택하거나 충전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설정을 안하셔도 좋고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고 넘어갑니다 자동 충전의 경우 충전 시점과 충전 금액을 선택이 가능합니다
선불 체크카드는 후불이 안되기 때문에 자동 충전 기능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고 안하시더라도 충전 알림 정도는 설정하시면 좋습니다
설정 후 넘어오면 이렇게 등록될 카드와 충전 금액 그리고 수수료 120원이 보입니다 확인하고 비밀번호 또는 지문으로 인증을 합니다 저는 헤이영 미니언즈 체크카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본인 인증을 완료하면 이렇게 캐시비 선불카드가 추가 되고 금액도 충전이 됩니다
소득공제 신청 및 확인
추가가 완료되면 소득공제를 신청하겠냐고 물어봅니다 당장은 안해도 상관없지만 신청을 바로 해보겠습니다 신청을 눌러줍니다
신청을 눌러주면 소득공제 혜택에 대해서 보입니다 아시다 시피 근로소득자의 경우 연말정산시 사용금액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에 체크하고 신청하기를 눌러주면 등록됩니다
모든 등록이 완료되면 이렇게 교통카드 번호와 결제수단 잔액, 결제 내역, 선물 등이 보입니다
또한 오른쪽 상단에 보이는 점 세 개 모양을 눌러주면 다양한 메뉴가 보입니다 결제수단 변경, 최근 사용 내역, 잔액 환불, 소득공제 신청, 청소년 할인 설정, 교통카드 삭제, 고객 서비스 등 메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교통카드 사용법
삼성페이 교통카드 사용법은 쉽습니다 휴대폰 상단바를 내려보면 NFC라고 있습니다 이것을 터치해 두번 눌러주면 카드 모드로 활성화 됩니다 이후에 대중교통을 이용할때 휴대폰 대기화면 정도 켜준뒤에 인식 리더기에 가져다 대주시면 됩니다
저는 Z플립3 휴대폰을 이용하고 있고 플립 휴대폰의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화면만 잠시 켜주고 터치하셔도 결제가 됩니다 여기까지 삼성페이 교통카드 등록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SC제일은행 주소지 및 연락처 변경)